서블릿
@WebServlet(name = "helloServlet", urlPatterns = "/hello")
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{
@Override
protected void service(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onse){
//애플리케이션 로직
}
}
- urlPatterns(/hello) 의 URL이 호출되면 서블릿 코드가 실행됨
- HTTP 요청 정보를 편리하게 사용: HttpServletRequest
- HTTP 응답 정보를 편리하게 사용: HttpServletResponse
HTTP 요청, 응답 흐름
- WAS는 Request, Response 담을 객체를 새로 만들어서 서블릿 객체 호출
- 개발자가 Request 객체에서 HTTP 요청 정보를 꺼내서 사용
- 개발자가 Response 객체에 HTTP 응답 정보를 입력
- WAS 는 Response 객체에 담겨있는 정보로 HTTP 응답 정보를 생성
서블릿 컨테이너
-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 를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함 (ex. 톰캣)
-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 객체의 생성, 초기화, 호출, 종료하는 생명주기 관리
-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으로 관리
- 고객의 요청이 올 때마다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비효율적임
- 최초 로딩 시점에 서블릿 객체를 생성해두고 재사용
- 모든 고객 요청은 동일한 서블릿 객체 인스턴스에 접근
- 공유 변수 주의
- 서블릿 컨테이너 종료 시 함께 종료
- JSP도 서블릿으로 변환되어서 사용
- 동시 요청을 위한 멀티 쓰레드 처리 지원
멀티 쓰레드
- 쓰레드
-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호출하는 것은 쓰레드
- 자바 메인 메서드를 실행하면 main 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
- 쓰레드가 없다면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할 수 X
- 쓰레드는 한 번에 한 줄의 코드 라인만 수행
-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쓰레드를 추가로 실행
쓰레드풀
- 필요한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보관하고 관리
- 가능한 최대치의 쓰레드를 관리
- 최대 쓰레드가 전부 사용중일 때 들어오는 요청은? 거절하거나 특정 갯수만큼만 기다리게 한다